홈 서버인 ‘Hercules’를 처음 세팅하며 설렜던 적이 참 엊그제같은데 벌써 5년하고도 반 년이 지났습니다.

현재 서버는 처음 빌드했던 시스템은 아니지만

호스트네임은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략한 사양으로 i7-13700K, D5 64GB

발열을 PA120SE로 간신히 버티고 있네요.

첫 OS로 CentOS 7부터 시작해서

CentOS 8 >> Rocky Linux 9

>> Proxmox VE(이하 PVE)까지 왔습니다.

가상머신으로는 여전히 Rocky Linu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하드웨어는 둘째치고 Standalone

RHEL로만 설치해서 쓰다가

PVE 도입 후 관리가 한결 편해졌습니다.

그전엔 아래와 같이 많은 서비스를 돌리진 않았지만

다 standalone으로 구축하니까 관리도 복잡하고

업데이트하면 꼬이고… 한계를 느껴 PVE로 넘어가면서

Docker 도입한 것도 한 몫 했네요. 기존 서비스를

다 도커로 옮기려니 귀찮아서 미루고 미루다

PVE로 넘어오면서 싹 정리했는데 진작 할 걸 그랬습니다.

현재 서버에 올려서 쓰고 있는 서비스들을 정리해봤습니다.

  • nginx: 웹서버, PVE 호스트 리버스 프록시용.
  • metube: youtube-dl을 Web UI 이용해 쉽게 이용 가능
  • wastebin: pastebin과 같이 텍스트를 웹으로 쉽게 옮길 수 있음
  • nextcloud: 쉽게 말해 내가 만드는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저장장치만 있으면 쉽게 용량을 늘릴 수 있다.
  • immich: 구글 포토, iCloud 사진과 비슷한 역할. 안드로이드/iOS 자동 동기화 지원, 활발한 개발 소식
  • guacamole: RDP, SSH, VNC 등과 같은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을 웹에서 이용
  • beszel: 시스템 모니터링 솔루션. 가볍고 쓰기 쉬운 UI.
  • uptimekuma: uptime 모니터링.

nginx

  • “가벼우면서도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하는 웹 서버 프로그램입니다.
  • 리버스 프록시, 웹 메일 프록시, 로드 밸런싱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 Apache(HTTPD)와 주로 비교되며 기본 구조에 있어서 스레드 기반 동기식(Apache) 이벤트 기반 비동기식(nginx)의 차이로 성능에 우위를 가집니다.
  • 고급 설정에 제약이 있지만 Nginx Proxy Manager(NPM)를 이용하시면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서버 메인 리버스 프록시로 사용 중입니다.

Nextcloud

  • 홈서버를 고려하시기 전에 NAS를 생각하셨던 분도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웹에서 쓰는 스토리지” 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구글 드라이브와 비슷합니다.
  • Nextcloud 내부 앱을 이용해 많은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 g.) 메일 클라이언트, 메모, To do, 캘린더 등등
  • 저장장치 가용 범위 내에서 마음대로 용량을 쓸 수 있습니다.
  • 다만 PHP 기반에다 조금 무거운 편입니다. 그럼에도 첫 홈서버부터 쭉 유지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Immich

  • 사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입니다. 비슷한 서비스로 구글 포토, iCloud 사진 등이 있습니다.
  • 역시 Nextcloud 처럼 저장장치 가용 범위 내에서 용량을 마음대로 쓸 수 있습니다.
  • 안드로이드, iOS에서 자동 동기화를 지원하며 UI가 직관적이고 쓰기 쉽습니다.
  • Docker 이미지로 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적어도 현재까진 위치 태그랑 아시아계 사람 얼굴 인식 부정확 등의 이슈가 남아있습니다.
  • 기존엔 모바일 Nextcloud 사진 동기화를 사용하다가 최근에 접하게 되어 사용 중인데, 목적 자체가 사진 관리로 나온 프로그램이다 보니 사용하기 훨씬 수월해 파일은 Nextcloud, 휴대폰 사진 동기화는 Immich로 분리해 사용 중입니다.

Beszel

  • 서버 상태 모니터링 프로그램입니다.
  • 웹 기반이고 직관적이며 쓰기 쉽습니다.
  • Docker 이미지로 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 정말 가볍습니다.
  • Host(Hub, Web UI) – Agent 구조로 에이전트는 도커로 쉽게 배포하거나 쓸 수 없는 경우 커맨드라인 옵션도 쓰기 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략히 사용 중인 서비스 적어봤는데

각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나 OS에 관한 것들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따로 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